책 소개
▶ 왜 교과서로 독해를 공부해야 할까요?
“글을 읽었는데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안 돼요.”
“글을 읽고 이해하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요.”
누구나 독해에 어려움을 겪습니다.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독해력을 높일 수 있을까요?
다양한 방법이 있지만, 그중 하나는 지문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올바른 배경지식을 습득하는 것입니다.
왜냐하면 배경지식의 유무에 따라 글 읽기의 자신감, 난이도와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.
배경지식을 갖추고 있으면 글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고, 잘 모르는 내용이 제시되더라도 미루어 짐작하기가 가능해집니다.
그런데 이러한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는 가장 실용적인 도구가 무엇일까요?
바로 여러분이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, 특히 사회와 과학 교과서입니다.
실제로 수능 국어의 출제 범위는 교과서이고, 수능에 출제되는 인문 · 사회, 과학 · 기술 지문의 제재들은
사회와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핵심 개념들과 직 ·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
이렇게 교과서의 주요 개념들을 학습하는 것은 가장 확실한 배경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이자,
독해를 잘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방법입니다.
▶ <독기 비문학 독해 - 과학개념>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나요?
<독기 비문학 독해 - 과학개념>은 어렵고 추상적인 과학 개념을 다양한 글에 녹여
보다 쉽고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교재입니다.
과학 과목은 교과서에 들어 있는 개념들이 초등 고학년부터 수능까지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.
또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수준이 점점 높아져 앞 단계의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.
<독기 비문학 독해 - 과학개념>을 풀면서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과학 개념을
짧은 글과 재미있는 그림으로 쉽고 명쾌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.
교과 연계 독해를 통해 과학 분야의 배경지식을 자연스럽게 쌓고 독해 능력을 효과적으로 키우기 바랍니다.
목차
1일차 생명과학
1 우리 몸을 이루는 아주 작은 방, 세포
2 우리 주변에는 어떤 친구들이 살지?
2일차 물리학
1 열은 어떤 방법으로 이동할까?
2 열을 받으면 커지는 것들이 있다고?
3일차 화학
1 물질의 세 가지 얼굴
2 에스키모는 왜 이글루 바닥에 물을 뿌릴까?
4일차 화학
1 입자는 가만히 있지 않아
2 하늘 높이 올라간 풍선이 터지는 이유는?
5일차 물리학
1 운동 상태를 바꾸는 힘, 알짜힘
2 번지 점프에 숨어 있는 여러 가지 힘
6일차 지구과학
1 기운 센 태양은 지구를 힘들게 해
2 지구야, 네가 움직여서 그런 거야
7일차 화학
1 소금물이 100℃에도 끓지 않는 이유
2 바닷물도 식수가 될 수 있어요
8일차 지구과학
1 돌은 돌고 돌아 돌이 돼요
2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곳이 있다고?
9일차 물리학
1 물속에서는 왜 다리가 짧아 보일까?
2 소리는 어떤 방식으로 전달될까?
10일차 화학
1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?
2 원자는 어떻게 이온이 되는 걸까?
11일차 생명과학
1 식물이 만드는 영양분 레시피
2 식물은 어떻게 숨을 쉬고 밥을 먹지?
12일차 생명과학
1 사람은 어떻게 에너지를 얻을까?
2 사람은 어떻게 숨을 쉬고 노폐물을 내보낼까?
13일차 물리학
1 찌릿찌릿, 정전기는 왜 생기는 걸까?
2 전류가 자석처럼 자기장을 만들어 낸다고?
14일차 지구과학
1 별까지의 거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?
2 밤하늘을 수놓은 천체의 무리, 은하
15일차 화학
1 나무를 태우면 질량이 줄어들까?
2 에너지가 열을 낸다고?
16일차 지구과학
1 지구가 점점 뜨거워진다고?
2 공기가 움직이면 바람이 불어요
17일차 지구과학
1 바다마다 온도가 다른 이유
2 기후를 움직이는 바닷물의 큰 흐름
18일차 물리학
1 물체가 어떻게 운동을 할 수 있을까?
2 일을 하는데 어떻게 에너지가 생기지?
19일차 생명과학
1 눈 · 코 · 입의 서로 다른 역할
2 우리 몸은 자극에 어떻게 반응할까?
20일차 생명과학
1 내 몸은 어떻게 자라는 걸까?
2 넌 대체 누굴 닮은 거니?
카드뉴스
이 책의 특징
